제12회 GCS THE포럼
스타트업칼리지
2025/10/14

Next Big Wave: 웰니스, 다음 유니콘이 태어나는 산업
가천코코네스쿨이 웰니스를 주제로 인생의 기업가적 전환을 모색하는 더포럼을 개최합니다.
세계적인 고령화, 기후변화, 팬데믹 이후의 삶의 방식은 우리 모두에게 건강·돌봄·멘탈·푸드·운동·헬스케어와 같은 근본적인 문제를 다시 묻고 있습니다.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산업과 서비스는 이미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기술과 데이터는 이 변화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웰니스 산업은 아직 해결되지 못한 과제와 기회의 경계에 서 있습니다. 의료와 복지의 격차, 돌봄 인력 부족, 식품과 영양의 불균형, 정신건강 문제, 맞춤형 운동 솔루션에 대한 수요 등 이 모든 문제는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업가적 접근을 필요로 합니다.
이번 포럼은 예비 창업가들이 웰니스의 현황과 기회를 심도 있게 이해하고, 업계 전문가와 함께 지속 가능한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입니다. 각 분야에서 직접 혁신을 만들어온 연사들의 경험, 투자자와 기관 관계자들의 시각을 통해, 웰니스 창업이 맞닥뜨린 현실적 어려움과 새로운 가능성을 생생하게 공유할 것입니다.
일 시 : 2025. 10. 31.(금) 13:00 ~ 17:30
장 소 :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AI관 6층
참가대상 : 웰니스 창업에 관심있는 이
신청방법 : 신청 페이지를 통해 사전 등록
세부일정
13:30~
[오프닝] 인사말 (장대익 가천대학교 스타트업칼리지 학장)
[인사이트] 글로벌 웰니스 산업 트렌드 그리고 롱제비티 건강 수명과 정서적 치유, 웰니스 및 항노화 산업 트렌드 (이보람 써드에이지 대표)
14:00~ [Session 1 : 의료 · 사회적 웰니스]
헬스케어 창업가의 기회와 도전 (김현준 바이트 대표)
초고령사회에서의 돌봄과 기술 (김효동 KB 라이프 전무)
14:40~ [오픈토크 Ⅰ]
의료 · 사회적 기반 웰니스의 기회와 어려운 점 (정주연 카카오벤처스 선임심사역, 이동석 한국관광공사 의료웰니스 팀장)
15:40~ [Session 2 : 라이프스타일 기반 웰니스]
웰니스 시대의 저속노화와 맞춤영양 (남정민 풀무원식품 본부장)
웰니스 창업, 제대로 시작하기 (문우리 포티파이 대표)
기업 웰니스 스타트업이 성장하는 방법 (신재욱 헤세드릿지 대표)
16:40~ [오픈토크 Ⅱ]
라이프스타일 기반 웰니스의 기회와 어려운 점 (경혜원 위벤처스 이사, 이준영 교보생명보험 CVC 담당자)
「연사별 약력 및 강연소개」
이보람 써드에이지 대표
약력
가천대학교 코코네스쿨 겸임교수
모간스탠리, 리먼브러더스 등 글로벌 금융회사 국내외 근무
건강하고 활력있는 나이듦 연구 및 제1회 글로벌 시니어 웰니스 컨퍼런스 준비 중
강연소개
"글로벌 웰니스 산업 트렌드 그리고 롱제비티 건강 수명과 정서적 치유, 웰니스 및 항노화 산업 트렌드"
웰니스와 웰빙은 어떻게 다른가? 기후 변화, 노화, 전쟁과 경쟁으로 혼란한 사회에 길어진 수명까지, 우리에겐 새로운 길 찾기가 필요하다. 통합적인 자기 돌봄, 즉 신체적 관리만이 아니라 정서적 치유와 예방 등 적극적인 대응책으로 발전 중인 웰니스 산업을 살펴봅니다.
김현준 바이트 대표
약력
주식회사 클롭 공동대표
퓨처플레이, DHP Venture Partner
(전) 뷰노 Co-founder/대표
(전) 삼성전자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
강연소개
"헬스케어 창업가의 기회와 도전"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인구 구조 및 산업 구조 자체가 큰 변혁의 가운데 있습니다. 헬스케어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밖에 없는 숙명에 놓여있는 분야이자 산업입니다. 다양한 기회가 존재하지만 그만큼의 위기와 도전도 존재합니다. 또한 타 산업대비 더 높은 수준의 도메인 지식과 경험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본 강의를 통해 헬스케어 분야의 산업적 형태를 살펴보고 창업가로서 어떠한 기회와 도전이 있는지 사례를 위주로 같이 나눠보고자 합니다.
김효동 KB라이프 전무
약력
한양대학교 경제학 석사
KB국민은행 입행 마케팅 본부) :CRM시스템 구축 및 고객우대제도 운영
KB금융지주 전략본부 : 그룹 시너지사업추진 / 그룹 WM기획 및 시니어사업전략 수립
KB국민은행 WM기획부장 / KB국민은행 지점장
KB라이프생명 디지털사업본부장('23년~'24년)
강연소개
"초고령사회에서의 돌봄과 기술(Senior Care and AgeTech"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에서의 시니어의 삶의 변화
의존적 노년기에 노인돌봄사업의 필요성
KB의 사례로 본 노인복지시설(요양시설 및 노인복지주택)
금융사 및 테크기업의 역할
정주연 카카오벤처스 선임심사역
약력
산부인과 전문의
이동석 한국관광공사 의료웰니스팀장
약력
한국관광공사 일본
러시아지사 과장
미국 로스앤젤레스지사 차장
기획조정팀 차장
남정민 풀무원식품 본부장
약력
풀무원건강생활(주) 디지털역량센터장
(주)풀무원 IT기획팀장
LG CNS 기술대학원, 전자사업부
(현) 정밀영양협회 산학위원장
강연소개
"웰니스 시대의 저속노화와 맞춤영양 (Wellness, Slow Aging & Precision Nutrition)"
웰니스는 단순한 개인의 건강관리를 넘어 삶의 질을 유지하고 설계하는 산업적 가치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웰니스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최근 가장 주목받는 흐름은 노화를 관리 가능한 과정으로 전환하려는 시도, 즉 저속노화(Slow Aging) 개념의 확산입니다. 저속노화는 단순히 수명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기반으로 건강수명(Healthspan)을 연장하는 접근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접근의 핵심은 개인의 생체정보와 생활습관 데이터를 통합해 맞춤형 영양 루틴을 설계하는 정밀영양(Precision Nutrition) 입니다. 풀무원의 디자인밀(Design-meal)은 이러한 개인맞춤영양을 산업 현장에 구현한 대표 사례로, 이제 단순한 식단 배송 서비스를 넘어 식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웰니스 루틴을 설계하는 식이전문 헬스케어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본 강의에서는 웰니스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과 저속노화·정밀영양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풀무원 디자인밀의 진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공유하고자 합니다.
문우리 포티파이 대표
약력
현) 디지털 멘탈케어 스타트업 40FY 대표/Founder
전)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전문의
전) McKinsey & Company, Consultant (2011-14)
Cartier Women's Initiative East Asia 1st awardee
M.D./Ph.D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MBA/MPH (Johns Hopkins Univ)
강연소개
"웰니스 창업, 제대로 시작하기"
웰니스의 함정
창업자의 에고보다 중요한, 유저의 니즈
웰니스의 강점
먼저 검증하고, 제품을 만들기
신재욱 헤세드릿지 대표
약력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중퇴) International Relations
웰니스 비즈니스 스터디 운영자
(주)헤세드릿지 창업자
강연소개
"기업 웰니스 스타트업이 성장하는 방법 (Thriving in a corporate wellness startup)"
직장 경험 없이 창업을 시작한 학생 창업가로서, 어떻게 기업 웰니스 시장의 파이를 빠르게 확장하며 무너지지 않고 성장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이번 강연에서는 스타트업이 돈을 버는 구조를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 그리고 더 확장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로 발전하기 위한 전략을 나누고자 합니다.
저는 앞으로 웰니스 시장이 지금보다 최소 100배 이상 성장할 것이라 확신하며, 이 변화 속에서 웰니스 스타트업이 어떻게 생존하고 성장할 수 있을지를 함께 고민해보려 합니다.
경혜원 위벤처스 이사
약력
前 이화여대 약학과 박사
前 고려대학교안암병원 약사
前 블루포인트파트너스 심사역
現 위벤처스 이사
이준영 교보생명보험 CVC 담당자
약력
교보생명보험 CVC/전략투자